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ompileKotlin FAILED
- 올인원타이머
- 특가촌
- 뷰 상태복구
- 뷰 상태 저장
- RxJava
- todofication
- nvidia-docker
- recyclerview
- onViewCreated
- 대학톡
- RX
- 타이머앱
- Android
- 특가알람
- andorid
- fragment
- List
- Quickly
- android clean architecture
- 카드내역 공유
- Koin
- 카드 내역 공유 앱
- 안드로이드
- 안드로이드 클린 아키텍쳐
- kotlin
- 특가게시판
- java.lang.OutOfMemoryError: Java heap space
- moveToState
- 작성
- Today
- Total
목록2020/06 (4)
seoft
brunch.co.kr/@huewu/4 안드로이드 앱 프로세스 분리하기 Parcelable, Intent, Messenger, AIDL, etc | TL; DR: 안드로이드 앱을 구현할 때 경우에 따라 서비스를 별도의 프로세스로 구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를 분리하면 어떤 장점이 있는지, 그 brunch.co.kr 바인딩 서비스 내 상황에 따른 service to activity 데이터 전달 종류 정리 포스트 https://vagabond95.me/2019/08/10/is-this-rxjava-2/ [안드로이드] 그런 Rx Java 로 괜찮은가 2 - Mulitple API, 병렬 처리 (flatMap, merge, zip) RxJava 의 큰 장점 중 하나는 무엇이든 Observable..
파일 다운로드 관련해서 DownloadManager를 사용할 수 도 있지만, 큰용량이 아닌 url로부터 단순 이미지를 받기 위해서는 상황에 따라 코드가 복잡하고 과할 수 도 있다. DownloadManager에 비해 Glide를 통한 방법으로 비교적 짧고 간단한 코드로 구현이 가능하다. Glide에 url을 넣어 진행시키고 완료되면 onResourceReady가 비동기로 호출되고 그 콜백 내에서 File을 생성, 변환 해주는 방법이다. 필자는 Rx에 병렬적으로 진행하기위해 Single타입으로 반환했으며 cache경로에 랜덤한 파일명으로 저장시켜 사용하였다. 상황에 맞게 알맞게 고쳐 사용하면 될 것같다. 위의 함수를 사용한 부분인데 single타입의 리스트를 zip에넣어 활용하였다 이미지 외의 다운로드, ..
[요약] 코틀린에서 리플랙션을 사용하면 KClass를 가지고 있다가 필요시 인스턴스화 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상황이 있다고 가정해보자(억지지만) 먼저 서버에서도 받아오고 다른대서도 공통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클래스가 존재한다. 또한 특정 페이지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프로퍼티들이 있어 타입별 enum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공통으로 사용하는 페이지가 있고, 진입시 타입에 따라 알맞은 인스터스를 생성해 사용해야 한다. enum을 통해 분기를 타지 않고 사용할 수 있지만, 어쩔수 없이 인스터스 생성은 다음과같이 타입별로 if분기를 타서 정의한다. 지금은 분기가 크게 많지 않지만 타입이 3개가아니라 10개, 100개 if분기가 늘어날것이다 . 이런 분기를 없애기위해 enum으로 다른 분기는 제외시켰으나 인스턴스..

[글쓰기 in PlayStore]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co.seoft.sf 게시판 작성/공유 플랫폼 : 글쓰기 - Google Play 앱 모임에서 투표할 공간이 없다구요?? 공통된 관심사에서 정보를 공유하고 싶으세요?? 간단한 홍보글을 써서 홍보가 필요한가요?? 글쓰기 플랫폼에서 간편하게 작성하고 공유하고 의견을 나눠보�� play.google.com [글쓰기 소개] http://post.seoft.co.kr/